본문 바로가기

일상/일상 꿀팁 ♠

귀경길 마주친 단속카메라…그 정체를 파헤치다

728x90
반응형



귀경길 마주친 단속카메라…그 정체를 파헤치다




 

>>>>>>>>>>>>>>>   왼쪽 카테고리를 보시면 주제별 다양한 볼거리가 제공되어 있습니다   <<<<<<<<<<<<<<<


원하시는 내용의 카테고리가 있으시다면 누르셔서


즐겁게 관람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블로그 쥔장 곰돌이 입니다^^




 본문 내용

 


단속카메라의 모든 것


기사 이미지


차로 위를 가로지르는 구조물에 고정된 무인 과속 단속카메라. 

추석인 4일 오전부터 본격적인 귀경 전쟁이 시작됐다. 장시간 ‘가다 서다’를 반복하다 보면 정체가 일시적으로 풀리는 순간 과속이나 얌체운전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하지만 명심하자. 귀경길 곳곳에 수없이 많은 단속카메라가 도사리고 있다. 

8월말 기준 전국에서 운용 중인 경찰의 단속카메라는 약 7,000대에 달한다. 1990년대 처음 도입된 이후 단속보다 사고 예방 효과가 입증되면서 매년 그 숫자는 증가하고 있다. 그 사이 네비게이션이 일반화 되면서 단속카메라를 피해 마음 놓고 과속을 하는 운전자 역시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찰과 교통 당국은 기존 단속장비 외에 구간 단속 방식을 도입하거나 암행순찰차와 드론(Drone)을 동원하기 이르렀다. 단속카메라의 진화는 지금 이 순간에도 진행 중이다. 


기사 이미지



고정식 과속 단속카메라.


기사 이미지



#1 단속카메라의 1세대, 고정식 카메라 

차로 위를 가로지르는 구조물에 고정하는 과속 단속카메라는 1997년 국내에 처음 도입됐다. 그보다 1년 앞서 도입된 휴대용 단속카메라와 함께 1세대 과속 단속장비라고 할 수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전국에 설치된 고정식 단속카메라는 6,658대다. 이 중 고속도로에 500대, 일반도로와 교차로에 각각 2,811대와 2,970대가 설치돼 있다. 전국 고속도로 총 연장이 약 4,500km인 점을 감안해 단순 계산해 보면 약 9㎞마다 1대 꼴이다. 이번 연휴기간 300㎞를 고속도로로 주행한 귀성객의 경우 총 33대의 고정식 단속카메라를 만난 셈이 된다. 물론, 실제 단속카메라의 설치 밀도는 도로 여건에 따라 다르다. 

고정식 장비는 도로 위 두 지점에 설치된 감지 장치를 차량이 통과할 때 걸린 시간을 측정한 후 속도를 계산한다. 감지 장치 사이가 10m인 경우 100km/h 속도로 통과하면 0.36초가 걸리는데 이보다 짧은 시간에 통과하면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오차를 감안해 위반 사실이 현저할 경우 촬영해 기록을 남기고 차적 조회를 거쳐 범칙금 고지서가 발부된다. 최근엔 레이저나 적외선을 이용해 여러 차로를 동시에 단속할 수 있는 장비가 도입되고 있다. 
#2 대부분 속 빈 깡통… 이동식 카메라 

“전방 500m 앞에 시속 100㎞ 이동식 과속 단속구역입니다. 서행하십시오.”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에 수시로 등장하는 이동식 단속구역은 전국적으로 900여 곳에 달한다. 그러나 카메라가 없는 ‘깡통 부스’가 대부분이므로 실제 단속이 이뤄지는 곳은 드물다. 8월 말 기준 경찰이 보유하고 있는 이동식 장비는 총 307대. 도로변에 설치된 단속 부스의 3분의 1 수준이다. 이 중엔 수리나 정비로 인해 사용할 수 없는 장비도 적지 않다. 설치와 관리를 맡은 경찰 인력도 턱없이 부족하고, 투광기 등 추가 장비 부족으로 야간 단속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빈 깡통에 또 속았다.” “단속도 안 하면서 하는 척 한다.” 등 민원도 끊이지 않는다. 하지만 경찰은 단속 부스 설치만으로도 과속운전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기사 이미지



경기 고양시 자유로 변에 설치된 이동식 과속 단속카메라 부스. 대부분의 부스가 비어 있다.


기사 이미지



또 다른 이동식 단속카메라 부스는 아예 전면을 막아 두었다.


기사 이미지



자유로에 설치된 구간 단속카메라.


기사 이미지



구간 단속카메라.


기사 이미지



#3 캥거루 운전자 꼼짝마! 구간 단속카메라 

2001년 서울 내부순환로에서 처음 가동된 구간 단속 시스템은 고정식이나 이동식에 비해 사고예방 효과가 월등하다. 특히, 카메라 앞에서만 속도를 줄였다가 카메라가 없으면 과속을 일삼는 ‘캥거루 차량’이나 난폭 운전 차량, 단속지점에서 과도하게 감속하는 차량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경찰은 구간단속 방식을 꾸준히 확대해 지난해 말까지 전국 59개 구간에서 운용 중이다. 

구간 단속 방식은 단속 구간의 시작과 끝 지점 통과 속도 및 평균 속도를 함께 측정해 단속한다. 세 가지 사항을 모두 위반하더라도 위반 정도가 가장 큰 한 가지 사항만 단속된다. 구간 단속 방식은 차량 흐름을 일정한 속도로 유지해 연료를 절감하고 오염 물질 배출량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구간 단속카메라의 대당 설치비용은 5천만 원 가량인데 전체 차로에 설치해야 하는 특성상 예산 확보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4 쥐도 새도 모를 암행순찰차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된 네비게이션이라도 그 위치를 가르쳐줄 수 없는 단속카메라가 있다. 바로 암행순찰차. 지난해 9월 6일 정식 도입된 암행순찰차는 외관 상 일반 승용차와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급제동과 ‘칼치기’ 같은 난폭 운전이나 지정 차로 위반, 갓길 주행 등을 단속하는데 효과적이다. “’언제 어디서 단속될지 모른다’는 인식을 줌으로써 운전자들의 교통 법규 위반 심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경찰 관계자는 설명했다. 경찰은 교통량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3일부터 5일 사이 경부?영동?서해안고속도로에 암행순찰차 21대를 투입해 위반 행위를 집중 단속한다. 


기사 이미지



지난해 9월 경기 성남시에서 열린 전국 고속도로 암행순찰차 발대식.


기사 이미지



경찰 헬기는 600m 상공에서 번호판을 식별할 수 있는 고성능 카메라를 장착하고 법규 위반행위 차량을 단속한다. 연합뉴스


기사 이미지



경찰 헬기에 장착된 고성능 카메라. 연합뉴스


기사 이미지


고속도로 법규 위반 단속에 나선 드론. 한국도로공사 제공 
#5 뛰는 얌체운전 위에 나는 드론 

네비게이션의 도움으로 또는 운이 좋아서 각종 단속카메라를 피한 얌체 운전자가 ‘뛰는 놈’이라면 25m 상공의 드론은 ‘나는 놈’이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이번 연휴기간 3천만 화소급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 10대를 띄워 끼어들기와 갓길주행, 지정차로 위반 행위를 집중 적발한다. 드론이 투입되는 지점은 경부고속도로 천안분기점과 서해안고속도로 당진분기점, 영동고속도로 여주분기점 등 24개 혼잡 구간이다. 드론은 정지비행을 통한 정밀 촬영이 가능하고 어디서나 이착륙이 용이해 미래형 단속 장비로 주목 받고 있다. 고성능 카메라를 탑재한 14대의 경찰 헬기 또한 600m 상공에서 교통 법규 위반 행위를 단속한다. 
#6 정확한 단속 기준은? 

일반적으로 규정속도가 100km/h인 지점을 101km/h로 지나더라도 범칙금이 부과되진 않는다. 측정기의 오차를 어느 정도 감안하기 때문이다. 경찰은 단속 실적보다 사고예방의 목적이 더 크다는 판단 하에 ‘딱지’를 발부하는 정확한 기준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인터넷이나 SNS에 규정 속도와 실제 단속되는 속도를 정리한 자료가 돌고 있지만 신뢰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단속을 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안전을 위해서 속도를 지킨다’는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사 이미지



고정식 단속카메라.


기사 이미지



서울 강변북로에 설치된 고정식 과속 단속카메라.




728x90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lumière | HYUN | 광주시 서구 | 사업자 등록번호 : 000-00-00000 | TEL : 010-0000-0000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